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백 투 더 비기닝>

딘 이스라엘리트 감독님의 작품으로 15년 2월 26일 개봉

<출처:http://movie.naver.com/movie/bi/mi/photoView.nhn?code=118365&imageNid=6392514#tab>


안녕하세요,이번 후기는 '백 투 더 비기닝' 입니다.

영화의 제목을 '백 투 더 비기닝' 이라 했는데 왜 영화의 영어 제목은 프로젝트 알마닉 인지 궁금해 하실것 같은데여

 영화를 직접 보신 이라면 아시겠지만 원래 그들이 만든 타임머신은

팀이 만든것이 아닌 설계가 다 되어있던 물건을 가지고 만든 타임머신입니다.

그 타임머신의 프로젝트 명이 알마닉이였습니다.

영화를 보시면 자연스럽게 알게 될것 이니 그렇게 신경을 쓰시진 않으셔도 괜찮습니다.


시간 여행물의 영화로 시간영화의 영화를 좋아하시는 분이라면 괜찮을 것 같습니다.

시간 여행 영화는 옛날부터 유명한 영화로 '백 투 더 퓨쳐' 라는 영화가 있었습니다.

이 영화를 모르시는 분들은 없겠지요.

이번 영화도 재목이 비슷하다는 점에서 저도 영화를 보기 전에는 솔직히 제목때문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영화를 보고는 '백 투 더 퓨쳐' 영화와는 다른 새로운 느낌을 받을수 있었습니다.

영화의 스토리나 설정은 비슷했지만

아무래도 촬영 기법에서 차이가 생겼던것 같습니다.

'핸드 헬드' 라는 말을 들어보셨는지요?

(핸드 헬드:카메라 혹은 조명 장치 등을 손으로 드는 것.

특히 카메라를 삼각대 에 장착하지 않고 들거나 어깨에 메는 것을 의미하는 용어)

저도 '핸드 헬드' 기법의 영화를 이번 영화가 처음일라서 잘 몰랐는데

호불호가 갈리는 촬영 기법이더군요.

어떤분은 멀미가 난다,어떤분은 장면의 집중도가 올라간다.

이러한 평들이 있습니다.

저도 이번 영화에서 저 기법에 대해서는 호 입니다.

그 이유는 설정자체에서 자신들이 아는 모든 행동은 캠코더로 저장한다는 설정에서

이 영화는 핸드헬드 기법이 아니면 아니면 영화의 맛이 사라졌을 것 같습니다.

오히려 영화의 호불호가 갈려도 영화의 촬영 기법으로 스탠드를 이용해서 정지된 화면에서 영화를 찍어서 만들었다면

설정자체도 상관이 없어질 뿐더라 촬영기법이 주는 메리트가 사라졌을 것 입니다.


영화가 주는 교훈이나 이런것은 쉽게 과거를 바꾸어서는 안된다,

보통 시간 여행의 스토리라면 늘 존재하는 공통적인 교훈인것 같습니다.

이런 점에서 영화가 너무 일방적이라 재미없을 것이라 생각하실수 있습니다.

네.충분히 그렇게 생각하실수 있을것 같습니다.

하지만 영화의 스토리가 주는 교훈은 어느 시간여행의 영화이든 간에 비슷해서

이번 영화는 영화의 촬영기법에 대해 맛을 보면서 영화를 보면 될것 같습니다.

말이 멀미가 날 정도 라지면 떨림이 그렇게 심하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그 떨림이 있기에 영화의 장면 연출 하나하나가 생동감이 넘쳤습니다.

저는 이런 기법으로 인해 생기는 메리트가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언제 한번 핸드 헬드 기법의 영화를 만나보겠습니까?

이번 영화로 차차 여러 기법의 영화 작품들을 만나 보는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출처:http://movie.naver.com/movie/bi/mi/photoView.nhn?code=118365&imageNid=6392514#tab>


사진과 내용은 무관합니다.

그들이 처음으로 타임머신을 완성하고 가동시켰을때 촬영 기법이 더욱더 효과를 보더군요..


<배우>

<출처: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18365>


배우분들의 연기도 연기였지만 촬영 기법에서 더욱더 빛을 발휘했던 것 같습니다.

다투는 장면이나 여럿 장면에서 시간가는 줄 모르게 만들어 주신것 같습니다.

집중도가 올라가서 영화의 다음 장면이 기대되게 만들어 주었습니다.

촬영 기법을 많은 기법중에 '핸드 헬드' 기법을 채용해주는 것은정말 신의 한수였습니다.


<줄거리>
뒤바뀐 어제, 완벽해진 현재 미래를 새로 쓰는 시간여행, 과거를 재구성하라!


MIT공대 입학을 꿈꾸는 과학도 데이비드 돌아가신 아버지의

비디오 카메라를 확인하다가 자신의 7살 생일파티 영상에 찍힌 현재 자신의 모습을 발견한다.

데이비드는 친구들과 아버지의 실험실이었던 지하실에서

시간재조정장치 설계도를 찾아내고 숱한 실험 끝에 기계를 완성한다.
 그들은 찌질한 현재를 탈출하기 위해 자신들의 과거를 바꾸기 위한 시간여행을 시작한다.

복권당첨, 왕따 탈출, 시험 다시 보기, 수업시간 중 몰래

나와 락페스티발에 가며 현재는 그들이 원하는 방향대로 더욱 완벽해진다.

그러나 소박했던 시간여행은 횟수를 더해갈수록 점점 더 과감해지고,

자신들의 과거를 재구성하는 동안 세상의 미래 역시 바뀌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는데...


줄거리는 시간여행 영화와는 비슷한 루트를 타고있습니다.

그렇지만 늘 복권 당첨이나 시험 다시 보기 같은 행동은 시간여행 영화에서 충분히 등장할만한 소재이지만

보통 잘 등장하진 않습니다.

이 이외에도 많은 일들을 할수 있어서 그런거 일수도 있지만

이런점에서 이번 이 영화는 엄청난 현실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신이 최장시간 시간 여행을 할수 있는 시간이 10년 그것도 차차 실험을 통해 늘려간것.

이런점에서나 영화를 보시면 현실적인 요소가 엄청 많이있습니다.


<예고편>

<출처:https://youtu.be/MKI-mvS_eCE>


허..마이클 베이 분께서 제작 맡았다고 하시네여

믿고 보는 마이클 베이라고들 하던데..

영화의 예고편을 보시면 상당히 스케일도 있고 여러 부분에서 괜찮았다는걸 보실수 있습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현실성이 있지 않나요?

예고편이 짧아서 그런지 촬영기법이 잘 들어난 것 같지 않아서 좀 아쉽네여

영화를 아직 못 보신분은 한번 보시는것도 괜찮을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백 투 더 비기닝' 이였습니다.

재미있게 읽어주셨나요?

저는 그럼 다음에는 더욱더 재미있는 영화로 찾아뵙도록하겠습니다.



Posted by 하드론가속기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이번에 후기로 올릴 영화는 아마겟돈 입니다.

아마겟돈(Armageddon)은 사전에는 지구 종말에 펼쳐지는 선과악의 대결이라 서술되어 있습니다.

그렇듯이 이 작품은 지구 종말에서 펼쳐지는 선과 악을 판별하고 그 문제를 해결해 나아가는 영화입니다.

지구의 종말을 다룬 영화라 그런지 스케일 또한 정말 대단하던군여

물론 스케일도 정말 대단하지만 극중에서의 ost,배우들간의 연기등등 엄청 나지요.

이 작품은 마이클 베이 감독으로 98년 7월 3일날 개봉을 했습니다.

무려 러닝타임 145분으로 이번에 개봉할 시빌워와의 러닝타임이 비슷하네여

아마겟돈의 뜻을 알고 영화를 보시면 훨신? 딱히 지장은 없지만

그래도 뜻을 알 고 보시면 훨신 편하실것 같네여

 영화의 후기를 시작하도록하겠습니다.

 

스포주의

 

이번 영화후기능 아마겟돈 입니다.

이 영화는 지구의 멸망 전의 상황을 막는 영화입니다.

이 영화를 제가 처음 알게 된것은 09년에 개봉한 2012라는 영화때문입니다.

이 영화도 마찬가지로 지구의 멸망을 다룬 영화입니다.

그치만 이 영화를 보고 다른 영화를 찾아보던중에 우연히 이 영화를 발견했습니다.

감독이 마이클 베이라는 점에서 한번 보고 싶었습니다.

그런중에 우연히 티비에서 틀어주는것 보고 앞부분을 좀 못 보긴 했지만

그렇게 많이 놓친것이 아니여서 무사히 영화를 이해하면서 영화를 봤습니다.

역시 지구의 종말에 관한 영화인지 스케일이 한몫을 하는것 같습니다.

지금 봐도 정말 재미있을것 같습니다.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만 아마 영화를 보신분이라면 저와 같은 생각을 할 것입니다.

영화는 마무리로 갈수록 점점 대단해 지는것 같습니다.

극 중에서 등장하는 나사도 대단하고 배우들 간의 연기도 정말 대단한것 같습니다.

특히 맨 마지막에 서로 다투는 장면을 보고 있을때에는 저도 왠지 동요되듯 그들에게 응원들 하게 되는거 같네여

그만큼 그들의 연기가 대단하다는게 아닐까요?

그럼 줄거리를 알려드리겠습니다.

 

포스터가 없는 관계로 네이버의 힘을 빌리겠습니다.

 

 

줄거리(출처 네이버)

 

It's Closer Than You Think.

텍사스 크기의 행성이 시속 22,000마일의 속도로 지구를 향해 돌진하고 있다.

 미국 우주항공국(NASA)의 댄 트루만 국장(Dan Truman: 빌리 밥 손튼 분)은,

행성에 800피트의 구멍을 뚫어 그 속에 핵탄두를 폭발하여 행성을 둘로 쪼개는 방법을 생각 낸다.

댄은 세계 최고의 유정 굴착 전문가인 해리 S. 스탬퍼(Harry Stamper: 브루스 윌리스 분)에게

행성의 중앙에까지 구멍을 뚫어 핵폭탄을 장착하고 귀환하라는 작전을 부탁한다.
  해리의 동료들은 보기에는 형편없지만 굴착 작업에는 귀신들.

 그래서, 해리와 그의 동료들은 NASA에서 우주 비행을 위한 기초 훈련을 받고,

'독립(인디펜던스)'과 '자유(프리덤)' 두 대의 우주 왕복선으로 소행성을 향한 위험한 항해를 시작한다.

천신만고 끝에 두 우주 왕복선이 소행성에 접근하다가, 독립호가 유성의 파편에 맞아 추락하게 된다.

 해리는 어쩔 수 없이 남은 동료들만으로 굴착 작업을 하다가 굴착지가 고장나는 시련을 겪게 된다.
  그때, 죽은 줄 알았던 AJ(A.J. Frost: 벤 애플렉 분)와 그의 동료들이 굴착기를 가지고 나타나 굴착 작업은 완료된다.

하지만 핵폭탄의 무선 폭파 장치의 고장으로 누군가 한명이 남아 수동으로 핵탄두 폭발 버튼을 둘러야 하는 상황에 접함.

 

검정색으로 밑줄친 부분은 제가 생각했을때 이 줄거리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이미 줄거리로 얼추 스포가 된것 같지만 그래도 영화를 보시면서 저 검은 줄을 생각해보시면 어떨까요??
꼭 내용만이 아니라 그들의 연기에 집중해서 보시는것도 좋을것 같아여

 

 

그럼 늘 그렇듯 예고편으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전 이미테이션 게임 후기때 처럼 30초로 나눠서 알려드릴께여 90초까지~

 

나머지는 영화를 직접 보시면서 체감하시길^^

 

예고편

 

 

 

                          

영화의 예고편은 찾았지만 자막이 안타깝게도 없습니다..

0~30초

도시 일대에 느닷 없는 운석이 떨어지게 됩니다.

이 장면부터 벌써 이 영화의 엄청난 스케일이 기대되지 않나여?

뭐 딱히 더 할 설명은 필요 없는것 같네여

영화으 시작도 이렇게 시작합니다.

전 이부분의 맨 마지막 부터 봤습니다.

 

30~60초

그러고 바로 18일이 남았다는 경고의 문구가 나오는데여

이 18일은 지구의 종말을 알라는 시간입니다.

18일 당일때부터 지구의 사람에게 혼란의 피해를 막기위해 나사는 이를 극비로 아무도 알수없도록합니다.

그렇게 계속 시간은 가고 시간은 갑니다.

이 시간대에서 나사에서는 열심히 지구를 살릴 방법을 찾으려고 열심히 일을합니다.

몇일을 앞두고 혹시모를 방지를 위해 어린 아이들을 모두 지하 벙커로 대피시킵니다.

 

60~90초

1분4초쯤에 지구로 두갈로 갈려진 소행성이 날라오는데여

이 장면은 나사가 지구를 살릴 만한 방법으로 생각한 방법인데 예고편에서는 실패장면을 보여주는데 극에서는

어떠한 경계선을 지나서 터트리면 지구가 멸망합니다.

그 장면을 보여주기에는 좀 그러니 예고편에서는 실패할때의 상황을 보여준것 같네여

그러고 몇분뒤 브루스 윌리스(해리 스탬퍼 역)가 등장을 합니다.

줄거리에서 보실수 있듯이 해리의 동료들이 등장합니다.

예고편에서는 언급이 안되있지만 그들은 굴착에 있어서는 전문가입니다.

영화에서 나사가 해리에게 도움을 청했을때 해리는 그들이 아니면 이 임무를 수행하지 않겠다고 하고 그들과 임무를 수행합니다.

 

이렇게 영화의 후기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최근에 옛날 영화를 자주해서 인지 예고편이 원할지 못한점 정말 죄송합니다.

그치만 제 나름대로 열심히 설명을 곁드리고 있으니 재미있게 봐주세여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영화의 후기는 목요일이 되겠네여

재미있게 봐주세여

영화 후기 추천 받아서 올려드리니깐 많은 덧글 부탁드립니다.

내일 다시 뵙겠습니다.

즐거운 주말 마무리 하시고 보람찬 일주일을 보내봐여~


Posted by 하드론가속기